클라우드

GCP vs Azure vs AWS,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해야 할까?

봉의일상 2025. 2. 4. 23:25

요즘 클라우드 사용이 거의 필수처럼 되어버렸다. 개인 프로젝트든, 회사에서든 클라우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시대다. 하지만 GCP, Azure, AWS 중에서 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된다. 나도 클라우드 도입을 고민하면서 세 가지 플랫폼을 비교해봤다.

비교 기준은 사용 편의성비용이다. 각 클라우드마다 장점과 단점이 명확하게 갈리는 부분이 있으니,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1. 사용 편의성 비교

AWS – 가장 대중적인 클라우드, 하지만 배워야 할 것이 많다

AWS는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1위다. 많은 기업이 사용하고 있어서 자료도 많고, 커뮤니티도 활발하다. 그러나 처음 접하면 서비스가 너무 많아서 압도될 수 있다. 콘솔 UI도 직관적이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 처음 시작할 때는 학습이 필요하다.

장점

  • 사용자가 많아 자료가 풍부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책을 찾기 쉽다.
  •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다.
  • 기업에서 많이 사용하므로 이력서에 AWS 경험이 있으면 가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단점

  • UI/UX가 직관적이지 않아 초보자가 적응하기 어렵다.
  • 서비스 종류가 많아서 처음 시작할 때 학습 부담이 크다.
  • 비용이 복잡하게 계산되기 때문에 예상보다 요금이 더 나올 수 있다.

Azure – Microsoft 환경에 최적화, 하지만 IT 엔지니어 입장에서 아쉬운 점도

Azure는 Microsoft 제품과의 연동이 강점이다. 특히 Windows 서버, Active Directory, Office 365를 사용하는 기업이라면 Azure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콘솔도 비교적 직관적이라 학습 부담이 적은 편이다. 하지만 IT 인프라 쪽에서 세부적인 설정을 조정할 때, AWS나 GCP보다 아쉬운 부분이 있다.

장점

  • Microsoft 제품과의 연동이 강력하다.
  • 콘솔이 AWS보다 직관적이라 초보자가 접근하기 쉽다.
  •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 많아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유리하다.

단점

  • IT 엔지니어 관점에서 세부 설정이 제한적인 경우가 있다.
  • 문서화가 부족한 경우가 있어, 특정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
  • 다른 클라우드에 비해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연계가 약한 편이다.

 


GCP – 개발자 친화적이지만, 국내에서 인지도가 낮

GCP는 Google이 만든 클라우드답게, 개발자 친화적인 서비스가 많다. 특히 AI/ML 관련 기능이 강력하다. 콘솔 UI도 깔끔해서 AWS보다는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AWS나 Azure보다 사용자가 적어,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

장점

  • 깔끔한 UI로 AWS보다 접근성이 좋다.
  • AI/ML 관련 기능이 뛰어나고, Kubernetes(GKE)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 지원이 강력하다.
  • 비용이 상대적으로 투명하게 계산되어 예측이 쉽다.

단점

  • 국내 사용자 기반이 적어, 정보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 글로벌 리전은 잘 갖춰져 있지만, 국내에서의 서비스 최적화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 엔터프라이즈보다는 스타트업이나 개발자 중심의 서비스가 강점이라, 기업 환경에서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2. 비용 비교

클라우드 비용은 단순 비교가 어렵다. 사용하는 서비스와 트래픽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략적인 경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항목 AWS Azure GCP
VM 인스턴스 비용 중간 가장 비쌈 가장 저렴
데이터 전송 비용 높은 편 중간 비교적 저렴
스토리지 비용 다양한 옵션 중간 저렴한 편
할인 정책 Reserved Instance, Savings Plan Reserved Instance Sustained Use Discounts
  • AWS: 기본 가격은 적당하지만, 데이터 전송 비용이 비싸다. 장기 예약 할인(Reserved Instance) 활용하면 비용 절감 가능.
  • Azure: VM 비용이 가장 비싼 편이지만, Microsoft 제품과의 라이선스 비용을 고려하면 유리할 수도 있다.
  • GCP: VM과 데이터 전송 비용이 가장 저렴한 편. "Sustained Use Discounts"라는 자동 할인 정책이 있어서 장기 사용 시 유리하다.

 

결론: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해야 할까?

AWS는 시장 점유율이 높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비용이 복잡하고 학습 부담이 있다.
Azure는 Microsoft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IT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을 수 있다.
GCP는 개발자 친화적이고 저렴하지만, 국내 인지도가 낮아 정보 찾기가 어렵다.

내 결론?

  • 기업에서 Microsoft 제품을 많이 쓴다면 Azure
  • 개발 중심이라면 GCP
  • 가장 대중적인 선택을 원한다면 AWS

내가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고민했던 내용을 정리해봤다. 결국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할지는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선택에 도움이 되었기를!